본문 바로가기

방송

VJ특공대 패브릭 유아용품 CEO 소아베 실내조경 CEO 거문도 쑥 한재미나리 여수 키조개 창원 고현리 미더덕 인도네시아 방카섬 주석

 

VJ특공대 패브릭 유아용품 CEO 소아베 실내조경 CEO 거문도 쑥 한재미나리 여수 키조개 창원 고현리 미더덕

인도네시아 방카섬 주석

 

 

‘손수 만든다!’ 억대 매출 주부 CEO!

아이의 옷을 직접 만들어 입혔던 이영주 주부~ 다양한 용품을 제작하며 육아 블로그를 운영했던 것이 주부들의 입소문을 타고~ 대박 행진! 어느덧 유아용품전문점까지 열게 됐다는데~ 아이에게 해롭지 않은 재료들과 모든 제품을 수작업으로 만드는 원칙을 고수해 3년 만에 무려 1억 3천만 원의 연 매출을 올렸다고. 나만을 위한 비밀 정원으로 대박 난 주부가 있다?! 4계절 내내 봄과 함께 한다는 하현영 주부! 일반 아파트에 실내정원을 들여놓는 아이디어로 대박이 났다는데~ 실내 정원 제작으로 버는 돈만 연 10억 원! 아토피가 있던 큰아이를 위해 주변 환경을 둘러보게 됐다는 김윤희 주부! 환경호르몬에 노출된 아이를 보고 원목 가구를 만들기 시작했다는데~ 모든 공정을 수작업으로 하다 보니 짧게는 한 달~ 길게는 두 달까지도 기다려야 하지만 고객들은 제품을 믿고 기다려준다고~자본 3만 원으로 창업? 유아용 머리핀으로 성공한 유영미 주부! 아이를 위해 만들었던 것이 어느덧 최고 매출 1억! 한 땀 한 땀 만들다 보니 일반 핀보다 가격대가 높은 편이지만, 주문이 끊이지 않아 손이 열 개라도 모자랄 정도라고. 좋은 물건을 만들어 내는 것이 성공비결이었다는 주부들을 VJ 카메라에서 소개한다!

 

▶ 패브릭 유아용품 CEO, 이영주 주부

<소아베>

유아용품 전문점인 소아베는 음악, 악보에서 귀엽게 또는 사랑스럽게 연주 하라는 뜻인

SOAVE와 BEBE의 합성어다.

귀엽고 사랑스러운 아기를 위해 엄마가 직접 한땀한땀 정성스럽게 바느질 한 것과 같은

사랑과 정성을 다해서 만든 유아용품이다. 

 특히 100% 핸드메이드 제품으로 세상 어디에도 없고 대량생산 시스템은 절대로

따라 할 수 없는 온리원 디자인을 지향하고 있어 소아베 제품들은 시간이

지날 수록 더 은은한 가치를 더 해줄것이다.

 

 

www.soabe.com

053-752-0165

카카오톡 ID : soabe2011

 

 

▶ 실내 조경 CEO, 하현영 주부

<하영그린>

http://www.hygreen.co.kr/

02-4310-9920

 

 

 

 제철이 돌아왔다~ 봄의 전령사 총출동

내륙보다 일찍 봄을 맞이하는 곳, 거문도. 이맘때만 되면 거문도 주민들은 서로 얼굴 볼 새도 없이 바쁘다는데~ 농사짓기가 어려운 거문도에서 쑥은 흙 한 줌만 있어도 쑥쑥 자라기 때문에 거문도 농가의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고. 바닷바람을 맞고 자란 쑥이라 생명력이 강하고 향이 진한 것이 특징! 남해안에는 성인 남자 손바닥 크기의 키조개 잡이에 한창이다~ 갈퀴를 내려 해저 진흙 속에 묻혀 있는 키조개를 긁어 올리는 방식인 틀그물 어업. 5분마다 6~70미의 키조개가 걸려 올라오는데~ 제철 맞은 키조개는 봄철 더욱 맛이 뛰어나단다. 언 땅에 잠들어 있던 미나리가 깨어났다! 봄을 가득 담아 향도 진하고, 맛도 좋다는데~ 한재 미나리는 첫 순만 수확하기 때문에 잎부터 줄기까지 생으로 먹어도 야들야들~ 삼겹살을 싸 먹으면 겨울철 잃었던 입맛까지 되찾아준단다. 한편, 전국 미더덕의 70%가 생산된다는 경남 창원 앞바다~ 작은 배에 어민들이 2인 1조로 움직이며 미더덕을 채취하는데~ 뭍으로 온 미더덕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껍질 제거 작업이 필수! 겉보기엔 쉽지만, 내장을 터뜨리지 않고 껍질만 싹 벗겨 내는 것이 여간 어렵지 않다고. 봄 향기 맡고 산지를 찾아온 사람들까지~ 봄을 만나 더욱 물오른 수확 현장을 VJ 카메라에 담았다.

 

▶거문도 쑥

<여수농협협동조합 삼산지점>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길 10

☎ 061-666-8082

▶한재 미나리

<한재 미나리 작목회>

☎ 054-371-5597

<부산농장>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청도읍 평양리 755-1

☎ 010-9878-4891

*방송 직후 매우 혼잡할 수 있으니 전화 문의 후 방문을 권합니다.

*자릿세 2천원은 별도입니다.

▶키조개

<해조영어조합법인>

전라남도 여수시 어항단지 35-8(국동)

☎ 061-641-4151

http://haejo.co.kr/

▶미더덕

<고현미더덕 정보화마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고현리 348-15

☎ 055-272-0011

http://gohyeon.invil.org/index.html

 

 

인도네시아 방카섬, 주석을 찾는 사람들!

납땜과 도금으로 쓰이는 희귀한 재료인 주석! 특히 인도네시아 주석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곳은 수마트라 섬과 보르네오 섬 사이에 위치한 방카 섬. 섬 전체에서 주석이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데~ 1998년 인도네시아 정부가 국영기업에만 부여하던 채굴권을 폐지하면서 마을 사람들도 채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방카 섬 주민들에게 주석은 금만큼이나 귀한 존재! 하지만 주석을 손에 쥐기까지의 과정은 험난하기만 한데~ 제대로 된 장비 없이 일하다 보니 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 바다 속에서 주석을 찾을 때는 목숨을 걸어야 한다는데~ 모래를 퍼 올리는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산소 호스 하나에만 의지한 채 바다로 뛰어드는 사람들. 최대 30m까지 잠수하고, 주석 채취가 끝날 때까지 물속에 있어야 한다고! 육지에서 작업하는 사람들도 계속해서 산을 무너뜨리며 작업을 하다 보니 언제 흙더미가 무너져 내릴지 모르는 상황,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사를 짓는 것보다 주석을 채취해서 파는 게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주석 채취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고~ 주석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방카 섬 사람들을 VJ 카메라가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