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송

횡문근육종 생명최전선 4살 채린이 박귀원 교수

횡문근육종 생명최전선 4살 채린이 박귀원 교수

 

 

채린이와 함께한 일주일 / <생명최전선>

 - 1년 6개월간의 기록

 

 

201310월 첫 방송을 시작으로 생생한 의료현장을 소개해왔던 <생명최전선>이 막을 내린다.

 

 <생명최전선> 마지막 회에서는 소아암을 앓고 있는 4살 꼬마 숙녀 채린이와

 

중앙대병원 소아외과 박귀원 교수가 함께 한 일주일간의 이야기를 담았

 

. 그리고 <생명최전선> 16개월간의 기록을 정리하며 앞으로 남은 과제를 점검해본다.

 

여행 가듯 익숙한 모습으로 여행용 가방을 타고 병원에 입원한 아이가 있다.

 

 근육에 생기는 암인 횡문근육종을 앓고 있는 네 살 채린이.

 

두 살 때 처음 암을 발견하고 1년 여 전 첫 번째 수술을 받았지만 얼마 전 종양이 재발해

 

 2차 수술을 받아야 하는 상황인데.

 

 

항암치료로 머리카락도 없고 혈색도 좋지 않지만 누구보다 밝고 명랑하다.

 

 딸에 대한 미안함과 걱정에 엄마의 눈물샘은 마르지 않지만 채린이는 오히려

 

그런 엄마를 위로하는 착한 딸이다.

채린이의 1차 수술에 이어 2차 수술도 담당한 중앙대병원 소아외과 박귀원 교수는 고난도의

소아 수술만 3만 건 이상을 진행해온 권위자다.

쉽지 않은 수술이라 예상은 했지만 종양이 다리로 가는 혈관에 붙어 있어서 생각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 게다가 막상 수술에 들어가니 종양이 신장까지 전이돼 갑작스런

 소아비뇨기과의 응급수술까지 필요하게 됐는데.

채린이는 해맑은 웃음을 되찾을 수 있을까.

 

 

<생명최전선> 제작진은 지난 16개월 동안 전국 14개 시도에 위치한 33곳의 병원을 찾았다.

 20142월 경주의 리조트 붕괴사고, 4월 세월호 침몰사고, 그리고 20151월 의정부

아파트 화재 참사까지 재난의료의 현장을 기록했던 <생명최전선>.

16개월간의 기록을 정리해보고, 응급의료, 공공의료, 재난의료 현장에서 앞으로

우리에게 남은 과제는 무엇인지 짚어보고자 한다.

 마지막 회에서는 횡문근육종을 앓는 4살 채린이의 이야기와 <생명최전선>

16개월간의 이야기를 담는다.

 

■ 횡문근육종

횡문근육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몇 연구에서 선천적인 신체적 결함이

 있거나, 가족성의 유전적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

 

1) 안와(눈)에 발생하는 경우
- 안구의 움직임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눈이 튀어나오거나 물체가 두 개로 겹쳐 보일 수 있습니다.
2) 중이, 비강에 발생할 경우
- 중이염, 청각 장애, 또는 안면 신경 마비로 표정에 변화가 올 수 있고, 뇌신경 일부에 마비가 올 수 있습니다.
- 비강에 발생할 경우 코막힘 등 상기도 폐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후두 주위에 발생할 경우
- 목소리가 변할 수 있습니다.
4) 팔다리 부위에 발생할 경우
- 덩어리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몸통 깊숙한 곳에 발생하는 경우 종양이 크게 자라 증상을 유발할 때까지 발견이 안될 수 있습니다.
5) 방광, 전립선 등 비뇨생식기에 발생하는 경우
-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 수 있고, 소변 볼 때 통증을 느끼거나, 소변이 마려운데 배설이 안되거나, 소변을 자주 보는 등의 증상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6) 뼈에 전이가 있는 경우
- 부위에 따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고칼슘혈증을 유발하여 변비, 구역, 구토, 탈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횡문근육종도 다른 연부조직육종과 마찬가지로 수술적 절제,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약물 치료)을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조합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는데, 한 가지 다른 점은 항암화학요법에 반응을 잘하여 항암화학요법이 치료의 근간으로 사용된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