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케 후쿠시마 사케 유통 원전사고 사케 25t 국내 수입
후쿠시마산 사케 유통
2011년 원전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에서 만들어진 사케가 우리나라에서 유통이
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부터 지난 7월까지 총 25t 분량의 사케가 수입이
된것으로 알려진다.
△2011년 1만4176㎏(57건) △2012년 6612㎏(49건) △지난해 4073㎏(27건)의 사케가
국내 수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는 7월 기준 사케 576kg(3건)이 수입됐다.
시중에서 소비자들에게 많이 판매되고 있는 720ml짜리 병으로 3만 4700병에 이른다.
후쿠시마 주변 7개 현에서 수입된 것까지 모두 합하면 4300여t에 이른다고 한다.
우리나라 정보는 후쿠시마 쌀의 경우 방사능 오염 위험으로 인해서 수입을 전면
금지했지만 사케는 쌀과 물이 주원료로 만들어지는 가공식품으로 분류해
수입을 허용하고 있다고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목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동일본 대지진 이후 수입된 후쿠시마산 사케는 2011년 1만 4176㎏,
2012년 6612㎏, 지난해 4073㎏, 올해는 7월까지 576㎏이다. 점차 줄고는 있지만 여전히
많은 양의 후쿠시마산 사케가 수입되고 있다.
문제는 식약처에서는 후쿠시마 지역 가공식품들을 수입해도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한다.
식약처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후쿠시마 인근 13개현은 수출 시 일본 정부가 발행한 방사능
검사증명서 및 생산지 증명서를, 이 외의 34개 현은 생산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고,
이 제품들을 국내에 수입할 때마다 샘플을 뽑아 방사능 정밀검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세 차례 2t 분량의 사케에서 기준치에 미치지 않는 미량의 세슘이
검출이 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안전성을 완벽하게 담보할 수는 없다고 지적이다.
샘플을 더 확대해서 표본검사를 한다면 더 많은 사케에서 세슘이 검출될 확률이 높다.
더욱 문제는 사케는 제품 표시가 모두 일본어로 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선택을 해서
먹을 수 어렵다는 것이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서 쌀과 지하수가 방사능에 오염이 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미 전세계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오염된 쌀과 물로 만든 사케가 가공품이라는 이유만으로 우리나라 식약처가
문제가 없다고 판단 하는 것에는 많은 무리가 있지 않나 한다.
더 큰문제는 사케 뿐만아니라 수산물가공품, 양념젓갈, 즉석조리식품, 조미건어포류
빙과류,드레싱 등 후쿠시마에서 생산되는 가공품들이 다량으로 수입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것을 무조건 안전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어도
식약처에서는 문제가 없다고만 하고 있으니 국민의 불안감은 더욱 깊어져만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