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증후군 MBC 다큐스페셜 번 아웃 증후군 원인
번아웃증후군 해결방안 연소증후군 탈진증후군 간호사 감정노동자 번아웃증후군
피로사회 대한민국!
국민들의 2013년 평균 근무시간은 총 2,090시간, 하루 평균 10시간 30분에 이른다. 급속한 산업화 과정을 거친 한국 사회에서 일 중독은 미덕으로 여겨진다. 사람들은 ‘저녁이 있는 삶’이나 ‘사랑을 주고받는 주말’까지 포기하며 일에 몰두한다. 에너지를 다 소진하고 어느 순간 무기력을 느끼는 ‘번 아웃(Burn out) 증후군'이 새로운 스트레스 관련 문제로 대두하였다. ’번 아웃 증후군‘은 개인의 문제에서 가정, 직장, 사회에까지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열정을 하얗게 불태운 ‘번 아웃 증후군’, 단순한 스트레스가 아닌 수면장애, 우울증, 심리적 회피, 인지능력 저하와 같은 질병까지 유발할 수 있다. 과연 대한민국 국민들이 얼마만큼 ‘번 아웃 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는지 알아본다
당신도 번 아웃(Burn out)?
직장인의 약 85%가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번 아웃(Burn out) 증후군’을 느낀다. 제작진은 새롭게 떠오른 ‘번 아웃 증후군’과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음소프트>와 함께 빅데이터를 분석해보았다. 사람들이 인터넷, SNS 등을 사용하며 만들어낸 110억 개의 빅데이터. 사람들은 ‘방전’이라는 단어를 접하면 배터리를 떠올렸던 예전과 달리, 지금은 체력을 떠올린다. 일과 관련한 수많은 단어, 그 중 ‘힘들다’ 라는 말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우리는 바쁘고 힘든, 그래서 굉장히 피곤한 사회에 살고 있다. 직장인뿐만 아니라 자영업자, 주부, 학생도 ‘번 아웃 증후군’을 겪고 있다. ‘번 아웃 증후군’이 전염처럼 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빅데이터로 우리의 삶 속을 들여다본다.
●1인 多 역 - 워킹맘의 번 아웃
결혼 9년 차, 쇼핑 호스트 14년 차 이창우, 권미란 부부. 남편은 쇼호스트 팀장, 아내는 프리랜서 쇼호스트로 두 달 전부터 같은 회사에서 일하고 있다. 권미란 씨는 한 번 일에 몰두하면 끝을 봐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 게다가 프리랜서이기에 실적과 평가에 대해 받는 압박과 부담이 더 크다. 생활밀착이라는 강점을 살려 처음으로 부부 쇼호스트가 진행하는 방송을 맡았다. 방송을 앞두고 신경이 예민해져 평소와 같은 남편의 행동도 곱게 보이지 않는다. 권미란 씨의 방송준비는 꼬박 하루가 넘게 걸린다.
한 번의 방송을 위해서 회의, 모니터링, 대본 작성, 시연, 시장조사까지. 게다가 요즘은 건망증이 심해져 몇 번 더 확인해야 마음이 놓인다. 가방, 화장품 등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고, 지난 방송에서 어떤 구성으로 방송했는지도 헷갈린다. 신경 쓸 게 더 많아지다 보니 불면증이 생기고, 사소한 일에 짜증도 늘었다
방송으로 에너지를 다 쓰고 탈진된 상태로 집에 가도, 엄마이기에 쉴 수 없다. 몸이 안 좋아서 어렵게 낳은 딸 은서, 바빠서 자주 못 놀아주는 게 한없이 미안하다. 하지만 ‘번 아웃(Burnout)’을 느낄 때면 5분이라도 온전히 쉬고 싶어 마음에 갈등이 생기는데 ...
“엄마를 만나면 놀아달라고 칭얼대고 짜증 내고, 사실 7살 애가 어디에 가서 칭얼대겠어요. 엄마한테 그러는 게 당연한 건데, 나는 내 몸이 힘들고 지치니까 .. 아이가 그렇게 반응할 때 100% 이해를 못 해주는 경우가 있으니까.. 그게 참 미안한 거죠“
-권미란 인터뷰 中-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워킹맘 권미란 씨가 느끼는 ‘번 아웃 증후군’을 알아보고, 이를 막기 위한 일상 속 방법을 공개한다.
●백의의 천사? 백의의 전사! - 감정노동자의 번 아웃
‘번 아웃 증후군’을 겪는 대표적인 직군은 간호사. 대한민국 간호사 70% 이상이 ‘번 아웃 증후군’을 겪는다. 간호사는 환자를 돌보며 자기 일처럼 공감한다. 환자의 상태가 나빠질 경우 감정이입이 돼서 슬퍼하고, 돌보던 환자가 사망할 경우 스트레스는 극에 달한다. 2009년부터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고성준 씨. 인수인계를 위해 1시간씩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한다. 매 순간 환자를 주시하며 즉각적으로 움직여야 하기에 쉴 틈이 없다. 유일하게 앉을 수 있는 건 식사시간 10분. 퇴근할 때면 모든 에너지가 소진됐다고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