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다큐스페셜 한국복싱 신종훈 함상명 임현철 김형규 선수 한국복싱 선수 12년만의 금메달 미치면 이긴다
mbc다큐스페셜 한국복싱 신종훈 함상명 임현철 김형규
선수 한국복싱 선수 12년만의 금메달 미치면 이긴다
물러설 곳 없는 사각의 링 위에서 펼치는 혈투.
한국 복싱은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에서는 전 체급을 싹쓸이하며 12개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하지만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이후 금메달은 나오지 않았다.
2014년 인천에서 열린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복싱 국가대표팀은 12년 만에 아시아 정상을 노린다. 진정한 금메달리스트를 만들겠다는 박시헌 감독과 주먹에 인생을 건 젊은 복서들.
‘지치면 지고 미치면 이긴다’는 각오로 경기에 덤벼든 이들의 금빛 도전이 펼쳐진다.
12년 만의 금메달, 그들의 처절한 기록
10월 3일 인천 선학체육관에서 열린 복싱 결승경기.
신종훈(-49kg) 선수와 함상명(-56kg) 선수는 금메달을 따며 12년의 한을 풀었고, 임현철(-64kg) 선수와 김형규(-81kg) 선수는 8년 만에 소중한 은메달을 안겨주었다.
신종훈 선수는 2014년인천아시안게임에서 남자 라이트 플라이급에서 카자흐스탄의
자키포프에게 판정승으로 승리해 우리나라에게 금메달을 안겼다.
또한명의 복싱 금메달리스트 남자 밴텀급의 함상명 선수는 중국의 장 지아웨이에게
승리를 해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비록 금메달은 따지 못했지만 그래도 열심히 해서 은메달을 따낸 임현철 선수
임현철 선수는 라이트웰터급에서 태국의 우티자이 마숙과에게 2-1 판정패를 해서
아쉽게 은메달을 손에 넣었다.
김형규 선수는 라이트헤비급에 출전을 해서 결승전에서 카자흐스탄의 니야짐베토프 아딜벡에게
아쉽게 져서 갑진 은메달을 획득했다.
신종훈 선수는 2010 광저우 아시안게임, 2012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 기대주로 꼽히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각각 8강, 16강에서 탈락하며 좌절을 맛봤다. 이후 모든 걸 놓고 방황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를 딛고 일어나 아시아 정상에 우뚝 섰다. 만 19세 함상명 선수는 이번이 처음으로 출전한 성인 대회임에도 겁 없이 맞서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임현철 선수는 맹렬한 인파이터 복서로 매 경기 KO승에 가까울 정도로 화끈한 경기를 펼쳤다. 결승에서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을 땄지만, 쌍둥이 동생 임현석 선수와 함께할 세계대회를 기약한다. 김형규 선수는 유독 약했던 한국 중량급에서 발군의 기지를 보이며 값진 은메달을 안겼다.
<MBC 다큐스페셜>에서 4명의 선수를 포함한 대한민국 복싱 국가대표팀이 지난 1년간 한 길만을 보며 달려온 독일 전지훈련부터 태백 산악훈련, 인천 적응훈련을 지나 결전의 날까지 피와 땀, 눈물의 기록이 펼쳐진다.
●지치면 지고, 미치면 이긴다!
글러브 외에 별다른 장비가 없는 복싱. 오로지 맨몸과 정신력만으로 무장해야 한다. 그만큼 훈련의 강도는 높다. 매일 새벽 6시면 일과가 시작된다. 선수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인터벌 달리기 때는 바닥에 눕는 선수들도 속출한다. 하지만 쉴 틈도 없이 펀치력 강화를 위해 해머로 타이어를 내려치기로 이어진다. 힘과 속도를 고루 갖추기 위해 여러 운동 기구와 샌드백을 번갈아 하는 서킷 트레이닝에서는 악을 쓰며 자신의 한계를 넘는다. 선수들의 훈련은 밤 10시까지 이어진다. 실제 경기가 야간에도 진행되기 때문에 밤에 스파링하며 신체 리듬을 맞춰야만 경기 때 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다.
복싱은 예민하고 섬세한 운동이다. 상대 선수뿐만 아니라 경기 시간, 링, 음악, 조명 등 작은 것에도 영향을 받는다. 이를 위해 감독과 선수들은 일주일간 인천으로 적응훈련을 떠난다. 하지만 출발부터 쉽지 않다. 감독과 코치진 차에 나눠 타고 도착한 인천. 모텔에서 잠을 자고, 길바닥에서 체조하는 열악한 조건 속에 선수들은 경기를 치를 선학체육관을 둘러보며 각오를 다진다.
열심히 한 번 해보겠습니다. 이거 일 낼 수 있을 것 같아요. -임현철(-64kg) 선수-
부상을 당해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거라는 그런 각오요. -함상명(-56kg) 선수-
제가 이기지 못하면 져요. 그래서 반드시 이겨야 해요. -신종훈(-49kg) 선수-
●두드려야 열린다 - 바뀐 규정에 적응하라.
현실은 쉽지 않다. 한국 복싱은 아시아에서도 하위권에 속한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남녀 동메달 1개씩 단 2개에 그쳤다.
한국 권투는 몰락했다고들 한다.
금메달을 따기 위해서는 바뀐 규정에 적응해야 한다. 국제복싱연맹(AIBA)이 지난해 6월부터 국제 경기에서 헤드기어를 착용하지 않기로 했다. 부상의 위험이 커졌고, 마우스 가드가 유일한 보호구가 됐다. 채점방식도 기존 포인트 제도에서 우세 경기로 변경됐다. 유효타 수가 적어도 강한 펀치에 적중하는 선수가 라운드별로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 치고 들어가는 인파이터 복서가 유리해진 방식. 더 거칠어진 방식에 하나둘 상처가 늘어나는데 ... 부상을 딛고 시상식 가장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을까?
새로 초등학생이 된 느낌이라고 해야 하나? 처음 복싱한 느낌이었어요. 원래 헤드기어 끼고 하다가 벗고 하니까 머리도 많이 부딪히고, 눈 찢어지는 사람도 많고 처음 하는 느낌.
- 최상돈(-52kg) 선수-
●12년의 한, 아시아 정상을 위한 도전
최상돈(-52kg) 선수는 땀복과 패딩을 입고 혼자 남아 운동한다. 물도 먹지 못하고 잠시 머금었다 뱉는다. 체중조절을 위해서 종일 굶기까지 한다. 반면 박남형(-91kg) 선수는 체중이 모자란다. 가벼우면 다른 선수들에게 힘에서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체중을 맞춰야 한다. 체급 싸움 복싱에서 체중조절은 경기 전 선수들이 넘어야 할 마지막 고비 중 하나다. 복싱 선수들은 체중조절 때문에 아시안게임 개회식에 참여하지 않는다. 인천 선수촌에 들어가면서도 체중계는 따로 챙겨갈 정도. 선수들은 시합에 오르기 전 먼저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야 한다.
지난 9월 24일 인천 선학체육관에 첫 종이 울리고, 선수들은 주어진 시간 9분에 모든 걸 쏟아 부었다. 8강, 4강을 지나 금메달에 다가갈수록 얼굴에는 상처와 멍이 늘어나지만, 아물 새도 없이 다시 링에 올라야 한다.
<MBC 다큐스페셜>은 복싱이 인생이자 곧 꿈, 희망이라는 감독과 선수들이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일궈 12년의 한을 풀기까지 그 치열한 도전을 밀착 취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