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심리부검 심리적 부검 추적 60분 김진수 20140111

wisdoma21 2014. 1. 10. 23:58

심리부검 심리적 부검 추적 60분 김진수 20140111

 

 

 

■ 내 아들의 자살, 그 이유가 궁금하다.

 

 

삼척 23사단에서 하사관으로 복무 중이었던 김진수 (당시 21세)씨. 그는 입대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2011년 11월 20일, 부대 내 휴게실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되었다. 부검 결과는 자살. 부대 회식 중 진수 씨의 말실수로 교육 차원의 구타가 있었고, 그 때문에 자살을 했다는 것이 수사 결과였다. 그러나 진수 씨의 어머니는 아들이 자살한 이유를 납득할 수 없었다.

 

 

“우리 애는 진짜 안 우는 애거든요. 아무리 맞고 힘들어도 우는 애가 아니에요.”

-김진아 / 故 김진수 하사 어머니

“무슨 일이 있더라도 긍정적으로 하고 어떻게든 해내려는 그런 모습을 많이 보였어요. 포기하려는 그런 건 없었고.”

- 故 김진수 하사의 부대 동료

진수 씨의 죽음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사람은 어머니뿐만이 아니었다. 주변 사람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그가 구타만으로 자살을 선택할 사람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무엇이 진수 씨를 벼랑 끝으로 몰아간 것일까? 어머니는 아들의 자살 원인을 모른다는 답답함에 아직까지도 잠을 이루지 못한다.

 

■ 어머니, 아들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보다

_ TV 시사 프로그램 최초로 심리부검을 시도

“자살에 대한 가장 큰 오류는 자살이 왜 일어났는가에 대한 단 하나의 직접적인 해답이 있다는 믿음에 있다.”

- 에드윈 슈나이드만 (심리부검 창안자)

 

 

김진수 씨의 자살 원인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우리는 그의 삶 속으로 들어가 보기로 했다. 제작진은 진수 씨의 형, 친구들, 부대 동료, 학교 담임선생님과의 심층 인터뷰와 진수 씨가 쓴 편지와 일기 등 그가 남긴 흔적을 수집했다. 그렇게 진수 씨의 일생을 재구성해 심리부검에 착수했다. 그의 인생 속에서 벌어졌던 의미 있는 사건들을 추출해 분석한 후, 그를 끝내 벼랑 끝으로 내몰게 된 원인을 추적했다.

심리부검은 미국에서 처음 시작되어 선진국에서는 이미 자살 예방 대책 마련을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걸음마단계다. 추적60분은 TV 시사프로그램 최초로 심리부검을 시도했다.

복잡한 개인의 극단적 선택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이 목적인 심리부검. 어머니는 심리부검을 통해 아들의 죽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

 

■ 우리는 왜 자살을 할까?

 

 

 

세상의 손가락질 때문에 자신의 아픔을 털어놓을 수조차 없었던 자살자의 유가족들. 그들은 가족을 잃은 슬픔보다 자살에 대한 편견 때문에 더욱 괴롭다.

“그냥 자살이 나쁘다고만 생각을 하지, 그 사람의 고통,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의 고통을 사람들이 모르더라고요.”

- 자살자 유가족

“저는 우리 애 시신도 진짜 0.2초도 못 봤어요. 아들 데려다놓고 얼굴 잠깐 보여주고 ‘진수야’ 하니까 저희 죄인 취급당하고.”

- 자살자 유가족

자살자들은 종종 “죽을 용기로 살았어야지,” “나약하다,” “충동적이다,” “가족을 두고 무책임하게 죽었다.”는 비난을 받는다. 그러나 심리부검을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자살자는 누구보다도 살려고 노력했던 분들입니다. 누구보다도 삶에 대한 생각을 강하게 하셨던 분들이 정당한 욕망에 대한 정당한 방법이 없을 때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 이영문 / 국립 공주병원장

 

 

 

 

 

올해를 기점으로 자살 예방을 위한 '심리적 부검' 제도화가 추진될 전망이다.

지난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올해 보건복지부 예산안에는 ‘심리적 부검 및 유가족 지원체계 구축’ 예산으로 9억6,000만원을 배정했다.

심리적 부검은 자살사망자에 대해 수집된 포괄적인 후향적인 정보를 가지고 자살의 원인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이다.

누군가 자살을 선택했을 때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의 인터뷰 및 유서 등 모든 활용 가능한 자료를 수집해 왜 그 사람이 자살을 할 수 밖에 없었는가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복지부는 수년 전부터 자살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적 부검을 적극 시도했지만 활성화되지 못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 2009년 한국자살예방협회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등에 ‘자살사망자 심리적 부검 및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 구축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심리적 부검 모델 개발 ▲심리적 부검을 통해 우리나라 성인의 자살 위험요인 규명 ▲지역사회에 적합한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프로그램 개발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자살재시도율 감소 등이었다.

그러나 당시 연구는 죽음을 터부시하고 자살을 덮으려는 한국인의 정서 때문에 유가족의 협조를 받기가 쉽지 않아 소수 사례만을 바탕으로 제한된 연구를 진행할 수 밖에 없었고, 정책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복지는 또 지난해 아주대학교 연구팀과 150건의 심리적 부검을 실시하는 내용의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자료-라포르시안